카테고리 없음
<한국 현대 문학의 이해> 김소월 - 길
반주하는 Samuel Park
2013. 12. 23. 00:22
어제도 하루밤
나그네 집에 … 방랑하는 존재
가마귀 가왁가왁 울며 새였소.
- 불길하고 불안한 상황을 이야기 함.
오늘은 또 몇십리
어디로 갈까.
- 정해진 목적지x 방향 상실
산으로 올라갈까.
들로 갈까.
오라는 곳이 없어 나는 못 가오.
-방향성 상실.
말마소 내 집도
정주 곽산
차가고 배가는 곳이라오.
- 김소월 시인의 고향이 정주군 곽산면이지요.
여보소 공중에
저 기러기
공중엔 길 있어서 잘 가는가.
- 서도여운 (옷과 밥과 자유)의 1연과 유사.
갈래갈래 갈린 길
길이라도
내게 바이 갈 길은 하나 없소.
- 불안정한 목표 상실. 이 시가 쓰인 시기의 시대를 반영.
김소월 시인의 작품에서는 거리의 개념이 많이 나옵니다. 그것은 임, 고향, 집과의 거리를 나타내는데 예전에 포스팅한 초혼이라는 시에서는 임과의 거리가, 그리고 이 시에는 고향과의 거리가 나타납니다.
그러한 거리감이 화자의 상실감을 나타내주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