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용 언어학> 대조 언어학

카테고리 없음 2013. 12. 23. 00:41 posted by 반주하는 Samuel Park

 중간고사가 끝나고 새로 진도를 나가네요. 오늘 배운 대조 언어학에 대해 요약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대조 언어학은 둘 이상의 언어를 대조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거기서 그치는 게 아니라 더 나아가 외국어 교육에 적절하게 사용됩니다.  참고로 대조 언어학은 공시적인 방법으로 언어를 연구합니다.

 

 대조 언어학은 (역사) 비교 언어학과 언어 유형론과 인접해 있는데, 그 내용을 간단하게 언급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역사) 비교 언어학은 이론으로 통시적으로 언어를 연구해 언어의 역사를 밝히려고 합니다. 그리고 언어 유형론은 각 언어의 공통점을 찾아 분류한 것인데, 예로는 고립어, 첨가어, 그리고 굴절어가 있습니다.

 

 우리가 쓰는 한국어는 첨가어에 속합니다. 중국어는 고립어에 속하고, 영어는 굴절어에 속한다고 합니다.

 

 과거 대조 언어학은 다른 언어들 간의 비교를 했었지만, 요즘은 한 언어 내에서도 각 부분을 대조하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대조 언어학은 행동주의 심리학의 영향으로 전이라는 개념이 중요한 이론적 내용이 되고 있습니다. 전이는 A에서 B로 옮겨간다라고 표현할 수 있는데, 이를 언어 교육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모국어에서 목표어로 전이를 해 나가는데 여기서 긍정적 전이가 발생하면 언어 학습이 촉진될 것이고, 부정적 전이가 일어나면 언어 학습에 간섭이 일어나 학습에 방해가 생길 것입니다. 그렇기에 대조 언어학을 주장한 학자들은 외국어를 가르칠 때에는, 간섭을 줄여야 한다고 했습니다. 또 대조 언어학은 구조주의 언어학으로부터 영향을 받았습니다.

 

 대조 분석 가설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목표어를 배울 때에 모국어가 간섭한다. 그렇기에 발생할 어려움이나 오류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다. 대조 분석을 통해 외국어 교육에 사용될 적절한 교재를 개발할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의 가설은 많은 비판을 받으면서 가설을 계속 수정 중이라고 합니다.

 

 대조 분석의 절차를 살펴보면 기술-선택-대조-예측의 과정이 있습니다. 기술 단계에서는 대조하고자 하는 언어에 대해 기술합니다. 대조를 하기 전에 각 언어에 대한 정보가 있어야겠죠. 그 후 선택 단계에서는 대조를 할 내용을 선택합니다. 예를 들면 한국어의 시제와 영어의 시제로 들 수 있겠네요. 대조 단계에서는 대조할 언어를 비교합니다. 마지막으로 예측 단계에서는 대조한 결과를 바탕으로 언어 간의 비슷한 부분과 다른 부분을 토대로 학습 난이도를 예측합니다. 난이도를 예측해서 공통점이 많은 내용은 초급 단계에서 가르치고, 차이점이 많은 부분은 중, 고급 과정에서 가르치게 됩니다.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대조 분석 가설은 많은 비판을 받았는데, 그것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대조 언어학에서는 학습자의 모국어와 배우고자 하는 목표어 간의 유사성이 많을수록 학습이 용이하고, 차이가 클 수록 학습이 어렵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언어를 가르치는 현장에서 그 논리가 꼭 맞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었습니다. 이는 대조 언어학자들이 현장에서 언어를 가르쳐본 경험 없이 세운 주장이라 현장에서는 반례가 많이 나왔습니다. 또 오류를 발생할 때에는 모국어의 간섭뿐 아니라 다른 요인도 있다고 했습니다. 이를테면 영어를 배우는데, 현재 완료 시제와 과거 시제가 헷갈려서 간섭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는 것입니다. 이처럼 우리가 어떤 언어를 배울 때 그 언어를 배우기 이전의 경험이 학습에 영향을 미친다는 대조 분석의 약설이 있습니다.

 

 대조 분석은 언어학적인 요소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그 대상에는 소리, 통사 구조, 문자, 조어 등이 있습니다.

 

 소리를 비교할 때도 그 큰 단위를 비교하기보다는 음소같이 작은 단위로 비교를 주로 하고, 문법적 차이나 어휘의 차이를 비교하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CLT(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에서 주장하는  Grammatical competence (문법적 능력), Discourse competence (담화적 능력), Sociocultural competence (사회 문화적 능력), Strategic competence (전락적 능력)의 언어 능력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이런 부분에서도 대조 언어학의 역할이 커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