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벨리우스 6] 5. 가사 입력하기

소소한 정보/시벨리우스 6 2017. 2. 3. 23:44 posted by 반주하는 Samuel Park

 안녕하세요? 오늘은 '시벨리우스 6' 기능 중 가사 쓰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아주 예전에는 시벨리우스를 쓸 줄도 몰랐고 컴퓨터에 설치도 되어 있지 않아 NWC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작업을 했었답니다. 그래서 그때 혼자 이것저것 공부해서 알았던 것을 포스팅을 했는데, 당시에 많은 분들과 같이 여러 가지 고민을 할 수 있어서 참 좋았어요. 서로 아는 정보를 공유하고 제가 가진 팁을 나누고 말이죠^^


 오늘은 음표를 그린 다음에 가사를 적어볼 건데, 음표 그리기는 앞에서 했으니 그 방법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단선 악보의 일부만 가지고 내용 설명을 할 것이기 때문에 Lead Sheet로 들어가서 작업을 했습니다~

 

 

 

 

 처음에 Lead sheet를 여시면 박자표가 없는데, 박자표를 저렇게 넣어줍니다~

 

 

 

 

 그다음에 음표를 찍었는데, 예시니까 쉽게 쉽게 '도~도'까지 그렸어요^^

 

 


 

 가사를 적으실 때는 위에 있는 메뉴 중 'Create - Text - Lyrics - line 1~5 (1절~5절)' 이렇게 들어가서 가사를 넣는 메뉴를 찾아주시면 됩니다. 또는 그냥 흰 여백 아무 곳에 커서를 두시고 마우스로 오른쪽 클릭해서 위와 같은 창이 나온답니다~

 

 

 

그렇게 한 다음 가사를 넣고자 하는 음표를 클릭하시면 위와 같이 나오는데, 실제로를 한글처럼 커서가 깜빡깜빡 거려요^^

 

 

 

 

가사를 쓰실 때에는 넣고자 하는 글을 쓰신 다음 'space bar'를 두 번 쳐줍니다. 그렇게 하면 다음 음표로 커서가 넘어가게 되고 가사를 쭉 쓸 수 있게 된답니다~

 

 

 

 

 저는 맥북으로 작업을 하는데, 시벨리우스에 한글을 쓰면 위와 같이 네모 박스로 글자가 바뀌게 된답니다. 이건 나중에 글씨체를 바꿔주시면 되는데, 한글 폰트는 따로 다운로드하거나 구매해야 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네모 박스로 된 글을 한글로 바꾸시려면 'Edit - Filter - Lyrics'를 클릭하시면 악보에 있는 모든 가사가 아래와 같이 활성화가 됩니다.

 

 

 

 

그전에 위와 같은 창이 나오는데 그냥 'Yes'를 클릭하시면 돼요~

 

 

 

 

 그렇게 하시면 아까 말씀드린 것처럼 가사가 파랗게 활성화가 되죠? 그다음에는 오른쪽 상단에 줄줄이 있는 메뉴 중 오른쪽에서 두 번째 단추를 클릭해줍니다. 그러면 오른쪽과 같은 창이 나오는데, 사진이 작게 나왔지만 저기 중에 'Text'가 적힌 부분이 있어요. 처음에는 글씨체가 'Times New Roman'인가요? 이걸로 나오는데 저거를 클릭해서 한글체로 바꿔주시면 네모 박스가 다시 한글로 돌아오게 된답니다~

 

 

 

 이렇게 말이죠^^ 시벨리우스로 단선 악보를 만들 때 가장 귀찮은 게 바로 가사 쓰기예요.. 저는 코드 쓰는 거는 아주 쉽게 술술 넘어가는데 가사를 쓸 때는 때에 따라 '-'을 넣어야 되고, 글씨체를 바꿔야 하는 작업 때문에 가사 쓰는 것에서 힘이 빠지곤 한답니다ㅜ

 

 

 


 혹 찬송가나 2절 이상의 곡의 가사를 쓰셔야 할 때는 위에서 보여드린 가사 쓰는 메뉴에서 line 2~5를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보통 찬송가는 5절까지 있는 곳이 있으니 아주 넉넉하게 가사를 쓰실 수 있으실 거예요~

 

 

 

 

 저는 간단하게 숫자를 써보았습니다~ 역시 처음에는 바로 한글로 나오지 않기에 위에서 보여드린 작업을 해주셔야 해요. 그런데 처음부터 가사를 여러 절 쓰실 거라면 쭉 다 쓰신 다음에 한 번에 네모 박스를 한글로 바꾸는 작업을 하시는 게 좋답니다^^


 오늘 내용은 여기까지인데, 제가 한 작업을 영상으로 만들었으니 혹 글만 봐서 이해가 잘 안되는 부분이 있다면 아래 동영상을 참고해주세요~


 <작업 영상>

 

 

 

사실 시벨리우스만으로 악보 만드는 모든 작업을 하기에는 좀 어려움이 있어요. 그래서 저는 단선 악보를 만들 때 미디를 통해 음표를 찍은 다음 시벨리우스로 가사, 코드 및 나머지 작업을 진행한답니다. 그러나 간단한 악보를 만들 때에는 마우스로 이리저리 찍어버리면 되니까 이 또한 알아두면 좋겠죠? 키보드로도 할 수 있다고 들은 것 같은데, 저는 아직 시도를 안 해봐서 이쪽은 잘 모르겠어요ㅜ^^


 저 같은 경우는 레슨 때 필요한 강의안을 만들 때 시벨리우스를 이용하는데 나중에 악보 곳곳에 글을 쓰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그럼 강의안 만들 때 아주 좋답니다^^


 2월이 되고 맞는 첫 번째 토요일이 곧 다가오네요. 다들 푹 쉬시고 즐거운 주말 보내시기 바랍니다!!

[시벨리우스 6] 4. 코드(Chord) 입력하기

소소한 정보/시벨리우스 6 2016. 12. 31. 20:54 posted by 반주하는 Samuel Park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시벨리우스 6 강의 코너에 포스팅을 하네요^^ 연말이라 뭘 포스팅하면 좋을까 하다가 소소한 정보라도 나누는 게 좋을 것 같아 시벨리우스로 포스팅을 준비했답니다~

 

 

 

 저는 작업할 때 맥북을 이용하는데, 시벨리우스를 조금 더 편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이런 키패드를 별도로 구매하시면 좋답니다~ 지난 강의에서 키패드의 기능을 말씀드렸는데, 마우스로 일일이 클릭할 필요 없이 키패드를 이용하시면 작업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답니다^^


 오늘은 Major, minor, 7th 및 기타 코드 이름을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제일 아래에 작업할 때 촬영한 동영상이 있는데, 말 없이 작업만 한 거라 위에서 글로 설명을 드릴게요~

 

일단 각 음표를 그리는 방법은 지난 강의에서 보여드렸죠? 그 방법대로 이렇게 화음을 만드시면 되는데, 첫 번째로는 메이저(Major) 코드를 그려봤어요~ 음표의 길이는 1번 키패드에서 바꾸실 수 있는데 저는 간단하게 4분 음표로 그려봤습니다~


 맥북의 경우 코드 표기를 위해 'command + K'를 누르시면 쉽게 코드를 쓰실 수 있어요. 단축키가 헷갈릴 때에는 아래 영상에서 보여드린 것처럼 빈 공간에 오른쪽 클릭을 하고 'Chord Symbol'을 선택하시면 된답니다^^ 

 

 

 

 다음은 마이너(minor) 코드예요. 메이저 코드에서 3음을 반음 내리면 만들어지는 코드인데 코드 이름을 입력하실 때에는 'cm'만 입력해서 자동으로 'Cm'로 입력이 된답니다^^

 

 다음은 M7 코드예요. M7 코드는 장7화음으로 메이저 코드에 7음을 더해주면 되는데, GM7에 붇은 파#때문에 BM7에 파#이 따로 안들어갔네요~ 코드당 일일이 임시표를 다 맞추려고 했는데, 하나를 놓치고 말았군요ㅜ

 

 

 

다음은 Cm7 코드예요. 이 코드는 마이너 코드에 단7도 음을 더해준건데, 코드 반주할 때에는 근음(코드의 첫 번째 음)을 빼고 치죠^^

 

 

 다음은 Dominant 7 코드예요. 편의상 7 코드라고 부르는데, 이 코드는 메이저 코드에 단 7도 음을 더해줘서 만든답니다~ 시벨리우스의 경우는 임시표를 자동으로 잘 처리하는데, 저는 코드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불필요한 임시표를 없애줬답니다. 그래도 G7의 시(내츄럴)은 그대로 남아있네요..^^

 

 

 다음은 생각나는대로 코드를 막 써봤어요~ 메이저부터 7th, 9th, 2, 6 등 코드 표기를 아주 다양하게 할 수 있답니다. 다음은 코드 표기의 2탄으로 각 성부에 맞는 코드를 쓰는 걸 준비해볼게요^^


 <오늘 설명한 내용을 담은 영상입니다.>

 

 

위에서 언급한 실수가 영상에 그대로 담겨있는데, 위 내용을 참고하셔서 정정한 상태로 이해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오늘은 코드 표기에 집중하는 거니 작은 실수는 양해해주세요^^


 2016년은 저에게 참 많은 일들이 있었던 한 해였어요. 대학원 3, 4학기, 누나 결혼, 새로운 무대에서의 반주, CCM 초급, 중급, 고급, 빠른 곡 반주법 강의 제작 등 크고 작은 일들이 많이 있었는데, 지나고보니 이렇게 적은 내용이 가장 강하게 기억이 나네요~


 한 해를 다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는 걸 벌써 25번을 했는데, 그래도 새해는 항상 새로운 것 같아요. 그래서 몇 시간 후면 다가올 2017년이 너무나도 기다려집니다. 새해에는 지금보다 더 좋은 일, 더 기쁜 일이 가득하길 바라고 조금 더 성숙한 제가 되길 기도합니다!!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안녕하세요? 시벨리우스 강의의 세 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키패드의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키패드는  하래 화면에 활성화되어 있는 단추를 누르시면 되는데, 생긴 모양이 정말 키패드 모양이라 찾기 쉬우실 거예요^^

]

 

 키패드에는 총 6가지 메뉴가 있답니다. 오늘 하나하나 살펴볼 텐데, 제가 잘 쓰는 기능 위주로 소개를 해드리겠습니다~


 1번 키패드

 

 

 1번 키패드에서는 기본적인 음표, 조표, 점음표, 스타카토, 악센트, 테누토, 붙임줄 등을 그릴 수 있습니다. 음표는 온음표에서부터 32분음표까지 있기에 일반적으로 악보를 그릴 때에는 1번 키패드를 이용하시면 되겠습니다~


 2번 키패드

 

 

 2번 키패드에서 주로 쓰는 기능은 꾸밈과 겹점음표입니다. 또한 밑에 있는 괄호 표시는 ghost note를 표시할 때 사용하니 여기에서는 이 부분을 주목해서 보시면 되겠습니다~


 3번 키패드

 

 

 3번 키패드에서는 음표의 꼬리를 조절하는 도구가 있는데, 저 같은 경우는 8분 음표가 네 개씩 묶여 있는 걸 별로 좋아하지 않아서 그걸 두 개씩 묶는 걸로 나눠주는데, 자세한 사용 방법은 아래 영상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4번 키패드

 

 

 저 같은 경우는 4번 키패드에서는 늘임표만 사용합니다. CCM이나 찬송가 반주 악보를 만들 때 여기에 있는 다른 기호는 그다지 필요하지 않아서 4번 키패드를 제일 적게 사용해본 것 같습니다^^


 5번 키패드

 

 

 5번 키패드에서는 음을 흩날리는 아르페지오 표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냥 주르르 흘리는 표시나 밑으로, 또는 위로 음을 펼치는 형태의 아르페지오 표시를 넣어줄 수 있습니다.


 6번 키패드

 

 

 

 마지막 6번 키패드에서는 다양한 조표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1번 키패드에 없었던 더블 플랫, 더블 샵 등 다양한 임시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 영상은 제가 작업할 때 주로 쓰는 기능을 모아서 보여드린 거라, 각 키패드를 소개하면서 말씀드린 내용 중 일부가 들어가 있습니다^^

 

 

 오늘 강의는 여기까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시벨리우스 6의 악보 설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처음에 시벨리우스를 봤을 때 사용법이 참 까다롭겠구나 싶었어요. NWC와 비교하면 여러 가지 메뉴가 숨겨져 있기도 하고, 마우스로 음표를 그리는 게 NWC와 너무 달랐기 때문이죠. 그렇지만 요즘은 로직을 통해 기초 작업을 하고 세부적인 것만 시벨리우스로 수정하다 보니 예전보다 작업 시간이 많이 단축되었답니다. 그러나 미디 작업을 하든 수작업을 하든 프로그램의 사용법을 알아야 하는 것은 마찬가지이기에 아주 기본적인 내용부터 차근차근 강의에 다루고자 합니다~


 오늘은 제목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악보의 기본 설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일이 스크린샷을 찍어서 보여드리고 제일 밑에서는 오늘 다룬 나용을 모두 모아둔 영상을 하나 올려드리는 걸로 내용 정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1. 악보 형식 설정

 

 

 

 

시벨리우스를 켠 다음 File - New에 들어가시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옵니다. ​

 

여기에서는 악보의 스타일을 선택하실 수 있는데, 단선 악보를 만들고 싶을 때에는 Lead Sheet을, 피아노 악보를 만들고 싶으실 때에는 Piano를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저는 Piano로 한 번 가보겠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레슨 할 때 필요한 CCM, 찬송가 악보를 일일이 만드는데, 그럴 때는 Lead Sheet를 선택합니다~ (물론 기초 작업은 로직으로 한 다음 시벨리우스로 옮기지만요..^^)

 

 

 위에서 피아노를 선택하면 위와 같이 악보의 기본 틀이 생성됩니다. 여기에서 해줘야 할 게 박자표, 조표, 단 조절인데, 하나하나씩 꼼꼼하게 짚어보겠습니다.


 2. 박자표 넣기

 

 

 박자표를 넣을 때에는 Create - Time Signature (단축치 T)​를 선택하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맥북으로 작업을 하는데, 시벨리우스의 경우 한글 타자는 인식하지 않으니 꼭 영타로 바꿔서 작업을 하시길 바랍니다~

 

 

 그렇게 하시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에서 원하는 박자를 선택하여 OK이 또는 Enter를 치시면 위 화면이 사라지고 빈 악보만 남게 되는데, 마우스로 첫마디의 높은음 자리표 옆에 클릭을 해주시면 아래와 같이 4/4박이 악보에 나타나게 됩니다.

 

 

 

 이후에 박자표를 바꾸고 싶으시다면 위와 같이 단축키 T​를 누른 다음 바꾸고자 하는 박자를 클릭하여 놓고자 하는 위치에 마우스를 갖다 댄 다음 클릭을 하시면 새로운 박자가 입력이 됩니다~


  3. 조표 입력하기

 

 

 

 조표는 Create - Key Signature(단축키 K)​를 클릭하시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옵니다.

 

 


 왼쪽은 # key, 오른쪽은 b key가 나와있고 왼쪽 상단에는 Major key와 minor Key를 선택할 수 있는 단추가 있습니다~

 

 Key 역시 위 창에서 Ok 또는 Enter를 한 다음 악보 제일 첫 마디에 클릭을 해주시면 위와 같이 조표가 입력됩니다~

 4. 마디 및 단 조절

 

 

 단을 조절할 때에는 먼저 Command + A (윈도우 용은 Ctrl + A)를 해서 위와 같이 보라색 테두리가 나오게 해줍니다.

 

 

 그다음에는 Plug in - Other - Make layout uniform​,을 클릭해줍니다~

 

 

 그렇게 하면 위와 같은 창이 나오고, 크게 세 개의 네모를 보실 수 있습니다.


 1번 네모 - 한 줄에 몇 마디를 넣고 싶은 마디 수를 입력

 2번 네모 - 두 번째 장부터 넣고 싶은 단 수 선택

 3번 네모 - 첫 번째 장에 넣고 싶은 단 수 선택

 

 

 

 

 저 같은 경우는 한 줄에 4마디, 첫 번째 장에는 3줄, 두 번째 장부터는 4줄이 들어가게 설정을 했습니다. 그렇게 한 다음 위와 같은 악보가 나오는데 가지런히 정리하실 때에는 전체 선택(Command + A or Ctrl + A)을 한 후 마우스로 오른손 줄을 잡고 밑으로 조정해주시면 됩니다. 이 부분은 아래 올려드릴 영상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데 다음에 마디 조절할 때 영상으로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저기 보시면 마디 위에 지렁이 같은 줄이 생겼는데 그것을 Layout mark​,라고 합니다. 저는 작업할 때 이게 좀 거슬려서 꼭 없애는데, 없애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View - Layout Marks, ​저기를 클릭하시면 아래와 같이 레이아웃 마크가 없어지게 됩니다~

 

 

 

 아주 깔끔해졌죠?^^


 오늘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혹 글로 이해가 안 가는 부분이 있다면 아래 영상을 통해 의문을 해결하고 가시기 바랍니다~